[김대호의 경제읽기] 금감원, 김범수 소환 통보…내우외환 빠진 카카오<br /><br /><br /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부터 사법 리스크까지 현실화되는 등 카카오의 내우외환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먼저 금융감독원이 시세 조종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에게 출석을 통보했는데 무슨 일이 있었던 건가요?<br /><br /> 법원의 판단을 지켜봐야겠지만 구속된 카카오 임원이 유죄 판결을 받거나 김범수 창업자에게까지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카카오뱅크 대주주 지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 대주주 적격성에 문제가 생길 경우 어느 정도의 후폭풍을 각오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카카오엔터테인먼트도 직접적 영향권에 들어가며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. 카카오엔터는 지난 3월 SM엔터 인수를 계기로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왔는데 계획 전반에 차질이 불가피해지는 것 아닌가요?<br /><br /> 지난해 10월 데이터센터 화재로 대규모 서비스 장애를 일으켰던 카카오는 경영진들의 도덕적 해이 논란에도 계속 휩싸이고 있습니다. 구원투수를 자처했던 남궁훈 전 대표가 스톡옵션 행사로 94억 원이 넘는 차익을 챙기는가 하면, 카카오의 재무그룹장이 법인카드로 1억 원 상당의 게임 아이템을 사적으로 결제한 사실도 밝혀졌는데요. 이렇게까지 리스크 관리가 되지 않는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카카오는 현재 경영 부진으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 계열사를 대상으로 고강도 구조조정을 진행해 거센 내부 반발을 받고 있습니다. 외부적으로는 정치권의 포털책임론부터 아시안게임 한·중 축구에서 일방적 중국 응원 클릭이 나와 홍역을 치르고 있는데요. 앞으로 위기를 어떻게 헤쳐가야 할까요?<br /><br /> 여러 악재 여파로 카카오 주가가 장중 4만 원 밑으로 내려가면서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. 경영진 리스크가 불거지며 3분기 실적 전망 역시 어둡다는 전망이 제시되고 있는데 어떻게 예상하세요? 주가 회복이 가능할까요?<br /><br /> 한편,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뉴욕경제클럽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너무 높고, 경제 성장을 둔화시켜야 한다며 통화정책이 덜 긴축적이라고 말했습니다. 사실상 11월에는 금리를 다시 한번 동결할 것이라는 신호일까요?<br /><br /> 물가가 여전히 높다는 파월의 발언 때문이었을까요, 10년물 미 국채금리가 연 5%를 돌파했습니다. 미 국채 10년물 금리 5%는 투자자들에게 '중요 기점'이라고 하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국제유가도 상승하고 있는데 고금리 장기화 상황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지 않을까요? 우리 시장 영향은 어떨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